<혈액생리(blood physiology)>


1. 혈액의 조성과 기능

1) 혈액의 기능

-물질을 운반하는 기능

-체온과 체액의 pH일정하게 유지

-세포 내외의 수분이동 조절한다.

-혈액 응고로 과다출혈을 방지(혈소판)한다.

-탐식과 면역기능(백혈구)을 한다.


2) 혈액의 조성

-pH: 7.35~7.45

-혈액량: 체중의 8%(4~5L)을 차지한다.

-혈액: 혈액세포(45%) + 혈장(55%)

         * 혈액세포: 적혈구(99% 이상), 백혈구와 혈소판은 1% 미만

         * 혈장: 수분(91.5%), 단백질(7%), 전해질, 아미노산, 포도당, 유리지             방산, 글리세롤, 비타민 무기질, 가스, 효소, 호르몬, 대사산물 등등

-혈장 단백질은 대부분 알부민(albumin), 글로불린(globulin), 섬유소원(fibrinogen)으로 구성되어 있다.

-알부민(albumin): 혈장의 교질삼투압을 조절하여 부종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. 또한 조직에 영양분을 제공하여 이온과 결합하여 신체의 각 부분으로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.

-글로불린(globulin): 단순단백질 중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단백질군을 글로불린이라고 부른다. 글로불린의 종류 중 α-글로불린과 β-글로불린은 비타민, 갑상선 H(호르몬), 등을 운반하여 알부민과 함께 혈장 교질삼투압을 조절한다. γ-글로불린은 면역과정에 관여하여 면역글로불린으로 명명되고 있다.

-섬유소원(fibrinogen): 혈액응고에 관여한다. 간에서 생성하여 간세포와 거핵세포에서 합성된다. 피브린은 혈액응고반응 뿐만 아니라 염증반응과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병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.


3) 혈액세포의 생성

-태아: 난황낭->간, 비장, 흉선, 림프절

-태아 말기 이후: 골수(bone marrow), 성인이 되면 두개골, 늑골, 흉골, 견갑골, 쇄골, 골반골, 척추, 상완골, 대퇴골의 적색골수에서 생성된다(red marrow)

cf) 혈액세포 생성 기능이 없고 지방조직으로 찬 골수(yellow marrow)

-줄기세포(stem cell): 적색골수를 구성, 여러가지 세포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세포다.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