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적혈구(red blood cell, RBC, erythrocyte)>


전체 혈액 중 RBC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45%이다. 이것을 적혈구용적률(hematocrit, Hct)이라고 한다. 

정상 성인 남자는 470만개/㎕, 성인여자는 430만개/㎕ 있다.



1. 적혈구의 구조

- 모양: 안쪽이 함몰된 원반형을 띄고, 직경 8㎛, 두께 1~2 된다.


- 세포막은 강하고 유연성이 있어 모세혈관을 빠르게 통과하면서도 쉽게 파괴되지 않는다.


-세포질에는 핵을 비롯한 어떤 소기관도 없기 때문에 많은 양의 혈색소(Hb)를 가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.


-구조상의 장점: 오목한 원반형의 구조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산소의 확산면적을 크게 하여 효과적인 산소교환이 가능하다.



2. 혈색소(hemoglobin, Hb)

- 산소를 운반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.


- 붉은 색깔을 띈다.


-4개의 폴리펩티드 사슬(polypeptide chain)로 구성된 글로빈(globin)과 4개의 헴(heme)으로 구성되어 있다.

헴(heme) 중앙에는 산소와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철이 있다.



3. 적혈구의 생성

-적혈구의 생성에 필요한 물질에는 철, 비타민 B12, 엽산(Folic acid). 피리독신(pyridoxine), 리보플라빈(riboflavin), 구리, 코발트 등이 중요하다: 부족하면 빈혈(anemia)가 발생한다.



4. 적혈구 생성의 조절

-negative feedback mechanism 작동: 어떤 경우 RBC가 파괴되는 숫자에 비해 생성되는 양이 적으면 음성되먹임기전(negative feedback-체내의 어떤 물질 또는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그 변화를 최소화하려는 기전을 말한다.)에 의해 적혈구 생성이 증가하여 생산과 파괴가 균형을 이룬다.


-적혈구 생산량 조절: 조직에 공급되는 산소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.


-적혈구 생성 촉진의 예: 말초조직의 저산소증(hypoxia) 신장에서 적혈구 조혈인자(erythropoientin-적혈구계 세포의 생산 증가 작용을 가진 체액성 인자를 뜻함)는 혈액으로 유리된 후 골수에 가서 적혈구 생산의 모든 과정을 촉진시킨다.



5. 적혈구의 파괴

-적혈구의 평균수명: 120일이다.


-파괴 장소: 간, 비장이다.


-파괴 그 후: Hb 성분 중에서 철과 아미노산은 재이용되고, 나머지는 배설된다.

cf) 적혈구막이 파괴되는 것을 용혈(hemolysis)이라고 한다.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