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Gillies의 간호인력 산정방법>
1. 서술적 방법(descriptive method)
-관리자의 경험을 근거로 하여 주관적으로 간호요원의 종류와 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.
-간호제공자 입장에서 환자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간호표준을 설정하고 간호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간호사수를 환자의 비율로 결정한다.
-관리자의 경험을 근거로 하여 주관적으로 간호사의 수와 종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.
-현행 의료법의 입원환자 5명 대 간호사 2명, 외래환자 30명에 간호사 1명의 비율로 책정한다.
-장점: 산정과정이 비교적 쉽고 빨리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.
-단점: 환자의 중증도와 그에 따른 간호인력 요구의 증강을 반영할 수 없다는 점이다.
*간호인력 확보수준에 따른 입원환자 간호관리료 차등제(1999년 11월 15일)
-적정수준의 간호인력을 확보하지 못한 요양기관에서 간호서비스의 일부를 보호자나 간병인에게 위임하는 등 입원 진료시 간호서비스의 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해소하고 요양기관에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.
등급 |
가산지급 |
병상수 대 간호사수 |
1등급 |
200% 가산지급 |
2.0:1 |
2등급 |
160% |
2.5:1~2.0:1 |
3등급 |
120% |
3.0:1~2.5:1 |
4등급 |
80% |
3.5:1~3.0:1 |
5등급 |
40% |
4.0:1~3.5:1 |
6등급 |
기본적 간호관리료만 지급 |
4.0:1 이상 |
2. 산업공학적 방법(industrial engineering approach)
-모든 간호활동을 분석하고 각각의 활동에 소요된 간호시간을 측정하여 간호업무의 흐름을 분석하고 각 업무에 필요한 간호인력을 산정하는 방법이다.
-간호업무를 통하여 인력의 수를 결정, 간호업무를 흐름에 따라 나열, 평균 빈도, 소요시간을 추정한다.
-간호업무량 조사를 위해 업무일지 및 환자 간호기록을 분석하고 직접 관찰, 동작 시간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다.
-양적인 측면에서의 조사, 수행된 간호의 질에 대한 평가적 측면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.
3. 관리공학적 방법(management engineering approach)
-간호부서를 위한 행동목표를 기술하고, 환자의 유형에 따라 간호표준을 기술한 후 그 표준에 따라 정해진 업무수행 빈도와 난이도를 기초로 해서 간호인력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.
-일련의 종합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력 산정을 결정하는 것이다.
-간호의 질, 돌보아야 할 환자의 유형과 수, 병원직원의 인원이나 병상 수용 능력, 운영예산과 같은 병원의 특징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다.
-환자를 간호요구에 따라 분류한 후 각 분류군에 따라 필요한 시간을 산출하여 총 간호업무량에 따라 간호사를 배치하는 방법이다.
-간호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게 될 물리적 요인, 기관적 특성 및 기타 제 요인을 사전에 충분히 파악하여 간호시간이 결정되어야 한다.
'뭐든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혈소판-지혈, 혈액응고, 항응고제와 혈전, 혈액형과 수혈 (0) | 2020.08.17 |
---|---|
적혈구의 구조, 생성, 생성의 조절, 파괴 (0) | 2020.08.16 |
혈액생리-혈액의 조성과 기능, 혈액세포의 생성 (0) | 2020.08.15 |
확보관리, 간호인적자원계획 (0) | 2020.08.13 |
병원의 인적자원관리 의의, 개념, 중요성, 간호인적 자원관리의 의의 (0) | 2020.08.11 |
전파경로별 예방조치 방법 (0) | 2020.08.10 |
신경계환자 원인, 증상 및 간호 (0) | 2020.08.04 |
최근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