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스트레스 관리>

1) 정의

환경의 요구가 지나쳐서 개인의 능력을 벗어날 때 개인과 환경과의 부조화에 의해 나타나는 반응으로 개인의 능력과 환경 요구 간의 적합성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.


2)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

● 생활 사건의 변화

-A형 성격: 적극적이며 야망이 있고 새로운 목표를 세우며 도전적인 환경을 추구하고 서두르며 끊임없이 경쟁적으로 노력을 하는 성격이다.

※ A형 성격의 간호사가 스트레스로 인해 관상동맥질환의 발병률이 더 높다.


● 통제의 위치

외재론자가 내재론자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다.

● 능력과 욕구: 개인의 능력과 욕구가 일치하지 않을수록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다.


3) 스트레스의 요인

개인 요인: 역할 과중, 역할 모호성, 역할 갈등, 책임감 등이 있다.

집단 요인: 집단응집력의 결여, 집단 내 갈등, 지위 신분상의 문제 등이 있다.

조직 요인: 조직 분위기, 기술 수준, 경영관리 스타일, 조직구조 및 설계 인사정책 및 보상제도, 업무환경 및 조건 등이 있다. 


4) 직무 스트레스의 영향

● 개인적 영향

- 심리적으로는 분노, 불안, 우울증, 신경과민, 불면증, 긴장, 권태감, 무관심, 체념, 집중력 저하, 업무 미루기 등이 있다.

-행동적으로는 과도한 흡연, 음주, 과식, 약물 남용, 사고 발생 등이 있다.

-신체적으로는 피로, 체중 변화, 혈압상승, 콜레스테롤 증가, 두통, 흉통, 요통, 소화불량, 위궤양, 심장질환 발생 등이 있다.


● 직무와 조직에 미치는 영향

-직무 만족과 직무몰입 감소시킨다.

-책임감 감소, 일탈 행위 증가, 근무 태만 등을 일으킬 수 있다.

-커뮤니케이션의 단절과 대인관계의 악화, 비능률적인 업무 관계를 유발한다.

-판단오류, 의사결정의 과오를 유발한다.

-결근을 자주 한다.

-성과와 생산성을 저하시킨다.

-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.


5) 개인 차원의 스트레스 관리방안

-스트레스 수용하기

-스트레스에 대한 자기 인식을 확대한다.

-신체를 돌본다.

-아니면 완전히 벗어난다.

-긍정적인 자기지각을 갖는다.

-사회적 지지 추구한다.

-과도한 요구를 감소한다.

-변화에 대한 계획을 세운다.


6) 조직 차원의 스트레스 관리방안

간호사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적정수준을 유지한다.

-직무분석과 직무설계를 한다.

-직무수용 능력개발한다.

-능력개발과 성장 기회 제공한다.

-간호관리자의 리더십을 개발한다.

-사회적인 지지를 제공한다.

-인사관리 제도의 개선한다.

-인적 자원 및 물적 자원을 확보한다.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