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간호의 질관리>



1) 간호 표준의 개발


- 간호 표준: 업무 수행 모델을 포함하는 우수한 수준이나 기본조건이다.

-표준: 질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 척도를 제공한다.

*질은 간호서비스에 대한 표준에 근거를 둔 것으로써 표준은 질 평가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.

 질에 대한 평가는 설정된 표준이나 기준에 근거한다.



간호표준( standard): 간호의 구조, 과정 및 결과적 측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간호에 대한 기대 수준으로 달성가능한 질의 정도, 목표이다.

기준(criteria): 표준의 달성정도를 측정 또는 관찰하여 지표를 평가할 수 있도록 객관적으로 설정된 기준 문항이다.

지표(indicator): 특정 기준의 하위 문항, 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요소이다.



* 표준개발에 필요한 4가지 요소

-표준은 측정대상과 업무의 수행 수준, 소요시간이 명확해야 한다.

-간호직의 많은 차이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.

-조직은 기준 측정에 필요한 기술을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.

-표준 측정은 비용 효과적이어야 한다.



2) 간호의 질 관리 접근 방법


-Donabedian의 질 통제 모델: 환자에 대한 높은 수준의 간호를 정하고, 유지하고, 보증하는 질적 보증을 위해 간호업무의 질 평가접근법을 제시한다.


(1) 구조적 접근법

-간호가 수행되는 환경이나 구조, 전달체계에 해당한다.

-정책절차, 직무기술서, 실무교육계획, 재정, 컴퓨터 시스템의 이용, 응급벨 설치 여부, 자격면허, 직원비율, 소화기 설치

-비교적 안정적이어서 자주 측정할 필요는 없다.

-과정적, 결과적 측면과 같이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

(2) 과정적 접근 방법

-간호실무의 과정을 측정하거나 간호사의 활동에 대한 간호과정을 측정하는 요소다.

-의사소통, 환자 간호계획, 절차 편람, 간호기록, 환자에 대한 태도, 환자교육 실시, 혈압과 태아심음 청취 등의 업무 수행에 대한 모든 요소이다.

-critical pathway, 표준화된 임상안내서


(3) 결과적 접근방법

-환자의 건강상태가 간호중재에 의해 얼마나 변화되었는지에 따른 최종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이다.

-간호의 질을 정확히 측정한다.

-사망률, 이환률, 만족도, 건강상태, 낙상률, 감염률, 욕창발생률, 신체억제법의 사용율

-세가지 접근방법을 모두 포함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


3) 간호 질 관리의 분석 도구


(1) 흐름도:

-특정한 업무 과정에 필요한 모든 단계를 표시, 미리 정의된 기호와 연결하는 선을 사용하여 도표로 표시한 것이다.

(2) 원인결과도:

-일의 결과와 관련된 요인들을 계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.

(3) 히스토그램 및 파레토 분석

-특성별 측정 빈도와 비율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.

-관리력이 일정한 경우에 가급적 효과가 높은 부분에 중점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분석 방법이다.

-80%의 문제는 20%의 적은 요소에서 발생하다는 파레토 법칙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질관리를 한다.
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